송호준 <압축하지마, 세계대회>

2015~, 현장 설치, 가변크기

송호준은 2013년 세계 최초의 개인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과학 기술과 예술을 결합한 다양한 시도를 해왔으며 최근에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등 과학 기술이 고도화되는 시대에 불확실성과 탈중심화된 사회에서 살아가는 방식에 관해 탐구하고 있습니다.

<압축하지마, 세계대회>는 2015년부터 독일, 스위스, 인도 등 전 세계에서 진행해 온 <압축하지마> 작업의 세계대회 버전입니다. <압축하지마>는 동영상 압축 알고리즘에 인간의 존재가 쉽게 압축 당하지 않도록 10초 동안 카메라 앞에서 최선을 다해 랜덤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퍼포먼스 참여 작업으로, 이번 세계대회 버전에서는 각 나라별 참가자 중 가장 압축이 덜 된 (압축 후 파일 크기가 가장 큰) 최종 우승자가 1비트코인의 상금을 받게 됩니다. 이 작품은 인간, 사물, 서비스 등 모든 것들이 취사선택된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미래를 조작하는 알고리즘과 인공지능으로 활용되는 현대사회에 대한 냉소적인 유머와 철학이 담겨있습니다. 관객 참여를 통해 우연의 발견을 추구하며 선험적 확률에서 벗어나 각자 고유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참여자는 10초라는 짧은 시간에 최대한 반복하지 않으면서 많은 변화를 만들어내는 퍼포먼스를 수행하며 우리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얼마나 반복적이며 과거의 경험에 바탕을 둔 무의식적인 의식에 의존하는지를 깨닫게 됩니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뿐만 아니라 대회를 관람하는 이들에게도 소위 ‘트렌디’한 데이터 범주에 들지 않는 고유한 존재로서 특정 사조 혹은 경향을 따르지 않고 다양성을 중요시하는 확장된 사유의 경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크레딧
작가 | 송호준
디자인 | 워크스

Hojun Song <Don’t Compress Me, World Competition>

2015~, Site Installation, Variable Dimensions

Song Ho-jun is a media artist who launched the world’s first personal satellite in 2013. He has engaged in various projects that blend science, technology, and art. More recently, he has focused on adapting to an era of uncertainty and decentralization, driven by the rise of technologies like blockchain and AI.

Don’t Compress Me, World Competition is the global contest version ofDon’t Compress Me, which has been ongoing since 2015 in countries such as Germany, Switzerland, and India. Don’t Compress Me is a participatory performance where participants try their best to create random movements in front of a camera for 10 seconds to ensure that their presence is not easily compressed by video compression algorithms. In this global contest edition, participants from various countries compete to produce the largest file size after compression, indicating the least compression, to win a prize of 1 Bitcoin. This work embodies cynical humor and philosophy about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humans, objects, services—is selectively stored as data and manipulated by algorithms and AI. Through audience participation, it seeks to the discovery serendipity and poses questions about how to think and act to maintain one’s unique existence beyond a priori probabilities. While aiming to create as much variation as possible in just 10 seconds, participants realize how much of what we consider creative is actually repetitive and subconsciously driven by past experiences. This piece aims to offer both participants and spectators an experience with expanded thinking that values diversity, and rejects specific schools of thought or trends, championing the idea of being a unique entity beyond the confines of the “trendy” data categories.

Credit
Artist | Hojun Song
Design | WORKS